티스토리 뷰
4대보험 중 하나로 납부하고 있는건이 바로 건강보험입니다. 병원에 다니면서 혜택을 받는 보험이고 필수적으로 가입을 해야 하는 보험이기도 합니다. 직장을 다니시는 직장인분들은 회사에서 4대보험을 들어가서 건강보험이 가입되어있지만 퇴사자나 무직자 혹은 자영업자의 경우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납부를 해야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어떻게?
그해서 오늘은 지역가입자분들에게 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지역가입자란 앞서 말한것처럼 근로자로서 가입되는 직장가입자가 아닌 본인의 재산소유에 비례하여 건강보험료를 산정하여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하는 기준은 크게 3가지로 소득기준과 재산기준 그리고 자동차로 점수를 합산하여 계산을 하게 됩니다. 또 연소득 백만원을 기준으로 달리 적용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소득기준은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기타소득, 근로소득을 포함합니다. 본인이 벌어들이는 모든 소득이 해당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소득기준이 높을수록 점수도 높아서 납부하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도 올라가겠지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기준(소득, 재산, 자동차)
두번째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은 재산입니다. 재산이라함은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을 뜻하며 토지를 포함하여 건축물이나 주택 선방 항공기 전월세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경우는 사용년수 9년미만의 승용차 중에서 4천만원 이상이거나 혹은 배기량이 1600cc를 초과하는 승용차와 그 밖의 승용차만 부과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3가지 소득, 재산, 자동차 기준에 따라서 점수를 부과하고 점수당 금액에 따라서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을 하게 됩니다. ☞2019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자동차 산정기준표
◈연도별 부과점수당 금액
2019년도로 점수당금액을 환산하여 계산하시면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위에서 3가지 기준에 따른 점수를 확인해 본 뒤 점수당금액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재산기준의 경우 금액구분에 따라서 일정금액을 기본공제 해주고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재산기준 공제금액 확인하기
'알아두면 좋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면제 한도액 확인 (0) | 2019.07.21 |
---|---|
넷플릭스 영화 추천 미드 추천 (0) | 2019.07.21 |
2019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0) | 2019.07.20 |
전기요금 누진표 확인 2019년 (0) | 2019.07.17 |
네이버지도 바로가기 길찾기 (0) | 201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