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각보다 어려운게 바로 퇴직금인거 같아요. 퇴직금이란 우리가 열심히 다니던 회사를 퇴직할때 받게 되는 금액입니다. 본인이 퇴직을 할 계획이 있다면 한번쯤은 계산기를 활용해서 알아보시는게 좋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노동부 퇴직금자동계산기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일반인들이 알기에는 사실상 조금 생소한부분이기때문에 계산기를 활용해보는것이 편하실텐데요~



제가 추천드리는 퇴직금자동계산기는 노동부에서 제공하는것입니다. 다른곳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곳인데요. 이곳에서는 퇴직금관련된 내용은 물론 노동소식과 직업훈련 실업급여 등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곳입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뒤 민원버튼을 누르게 되면 하단에 민원마당바로가기 메뉴가 나타나실겁니다. 이곳에서는 민원신청과 조회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곳으로 [민원마당 바로가기]를 눌러서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민원마당을 클릭해서 민원마당홈페이지로 들어오게 되면 하단에 자가진단이라는 메뉴를 확인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이곳에서 나의퇴직금계산 이라는 메뉴를 클릭하면 노동부 퇴직금자동계산기를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메뉴를 클릭해서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계산기로 넘어오면 다음고 같은  화면이 나오실겁니다. 퇴직금 계산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입력해주어야 하는데요. 입사날짜와 퇴직날짜를 적어주시고 평균임금계산기간보기를 눌러주시면 재직일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직기간에 따라서 퇴직금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날짜로 기재해주셔야 합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자동계산기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입사날짜와 퇴직날짜를 적으면 자동적으로 재직일수가 계산되어서 나오게 됩니다. 그 이후에 월 기본급과 기타수당 그리고 연간 상여금과 연차수당등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작성을 해줍니다.




그리고 퇴직하기 전 3개월의 임금총액을 계산해주어야 합니다. 기본급고 기타수당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부분을 확인해서 금액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노동부 퇴직금자동계산기 활용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입사날짜와 퇴직날짜 그리고 지금까지 받아왔던 급여액을 알고 있으면 누구든 쉽게 계산을 해보실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는 대략적인 내용일뿐 정확한 금액은 아니니 참고정도로만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